News
Tech
Culture
Program
Hiring
News
Tech
Culture
Program
Hiring
News
Tech
Culture
Program
Hiring
Column
Search
2024년의 마지막을 장식하며, 하임시큐리티는 특별한 송년 행사를 개최했습니다. 올해는 특히 연구소의 눈부신 성과가 있었기에 그 어느 때보다 풍성하고 의미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한 해 동안의 노고를 격려하고, 함께 이뤄낸 값진 성과를 축하하며, 새로운 도약을 다짐하는 뜻깊은 자리, 웃음과 열정, 그리고 동료애로 가득했던 그 현장을 생생하게 전해드립니다.
송년의 밤, 설렘과 기대 속에 시작!
송년 행사를 위한 완벽한 준비 덕분에 연구소는 설렘과 기대로 가득 찬 연구원들의 활기로 넘실거렸고, 훈훈한 분위기 속에서 드디어 송년의 밤이 시작되었습니다. 성공적인 한 해를 기념하는 케이크 커팅식에서는 임원진과 연구원 모두 함께 케이크를 자르며 축하를 나누고, 달콤한 케이크를 맛보며 서로에게 따뜻한 덕담과 격려를 건네는 훈훈한 시간을 가졌습니다.
뛰어난 신입 연구원의 모습!
특히 올해는 신입 연구원들의 빠른 적응과 기존 연구원들의 훌륭한 성과, 그리고 몇몇 선임 연구원들의 뛰어난 결과 산출 등
연구소 구성원 모두가 괄목할 만한 성과
를 이루어낸 해였기에, 케이크를 함께 나누며 이러한 성과들을 되짚어보고 "정말 수고 많았다", "덕분에 좋은 결과를 낼 수 있었다"와 같은 따뜻한 말을 나누는 모습은 더욱 보기 좋았습니다.
흥미진진한 게임과 퀴즈쇼, 그리고 행운의 선물 증정
케이크 커팅에 이어 흥미진진한 게임 시간이 펼쳐졌습니다. 특히 ‘요트 다이스’ 게임은 모두의 뜨거운 호응을 얻었습니다. 주사위를 던져 나온 숫자에 따라 요트가 항해하는 콘셉트로 진행된 이 게임은, 간단하면서도 스릴 넘치는 진행으로 모두를 즐겁게 했습니다.
요트 다이스를 하며 먹는 케이크!
곧바로 이어진 퀴즈쇼에서는 다양한 분야들을 주제로 한 퀴즈들이 출제되었습니다. 연구원들은 열정적으로 퀴즈에 참여했고, 정답을 맞출 때마다 환호성이 터져 나왔습니다. 아쉽게 오답을 맞춘 연구원들의 탄식은 행사장을 더욱 흥미진진하게 만들었습니다.
퀴즈쇼의 열기가 채 식기도 전에 선물 증정식이 진행되었습니다.
퀴즈쇼 점수를 합산하여 1위부터 순차적으로 원하는 선물을 3개씩 고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는데, 어떤 선물을 고를지 고민하는 모습, 원하는 선물을 얻고 기뻐하는 모습 등 다양한 반응들이 쏟아져 나왔습니다.
회식 전 깜짝 선물 교환, 개성이 드러나는 특별한 순간들
[2024] 송년회, 빛나는 성과와 함께하는 시작한 행사 후기
Event
2024/12/29 09:18
Intro
저는 국가의 부름을 명받은 뒤 사라졌다가 작년 초에 막 사회로 복귀하게 되었습니다.
대학교 복학을 고민하던 중 저희 회사에 지원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생겨, 다음과 같이 입사하여 다양한 소프트웨어의 Offensive Security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연구를 진행하던 와중, 지난 겨울에 신입 연구원을 대상으로 실력 증진을 위해 실제 소프트웨어(패치 이전)를 분석하여 1day 취약점을 탐색하고 익스플로잇 하는 기술 과제가 주어졌습니다.
해당 기술 과제를 해결하던 중 발견했던 1day 취약점이 zero day 취약점으로 이어졌고, 해당 취약점을 Exploit 하여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리월 월드를 접하고 처음으로 버그 헌팅을 해본 경험이여서 신기하고 배웠던 점이 많았던 것 같아요.
그래서 제가 겪었던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고자 다음과 같이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이미 패치된 취약점이며, 타겟은 비공개입니다.
Overview
먼저 코드 분석에 들어가기 전, 사전 조사를 진행했습니다.
제가 분석하는 소프트웨어의 종류는 Viewer이고, 확장자에 따라 진입하는 Dynamic Link Library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그런데 파싱하는 이미지 확장자가 생각보다 다양해서 한번에 분석하기 애매했어요.
일단 분석할 확장자를 선택해야 하는데 대중적인 png, jpg 등과 같은 이미지 파일의 경우는 우선 순위에서 제일 마지막에 배치하였습니다.
하린이의 버그헌팅 일기
Growth
연구 지원 제도
오경제(@ohgyeongje)
2024/01/15 06:49